저의 경우에는 항상 ..! 젠킨스 플러그인이 한번에 다운로드가 되지 않았습니다.

몇번 더 retry 하다가도 실패하면 수동으로 설치해주어야 합니다.
젠킨스 Dashboard > Jenkins 관리 > Plugins > Installed plugins에 가면 다음과 같이 실패한 항목들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눈에 띄는 에러는 총 2개로 로드에 실패했다(Failed to load)는 에러와 없다(is missing)는 에러 가 존재합니다.
1️⃣ 로드에 실패
로드에 실패한 에러는 다음과 같이 Failed to load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.

보통 버전이 상이한 경우가 많습니다.
그래서, 해당 플러그인으로 가

버튼을 통해 다운그레이드 등으로 버전을 맞추어 주면 됩니다.
2️⃣ 플러그인이 존재하지 않음
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플러그인이 없다는 에러를 확인하였으면, ionicons-api를 설치해주도록 하겠습니다.
저의 경우에는 직접 hpi 파일을 설치한느 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.

1. Dashboard > Jenkins 관리 > Plugins > Available plugins에서 해당 플러그인을 검색합니다.

2. 이름을 눌러 해당 플러그인 페이지로 접속합니다.

3. Releases에서 Download의 direct link를 통해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.


4. Dashboard > Jenkins 관리 > Plugins > Advanced settings에 Deploy Plugin에서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, Deploy를 클릭합니다.

5. 자동으로 설치됩니다.


6. 반영하기 위해 Jenkins를 재시작합니다.
재시작 후 확인해보면 잘 설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'프로젝트 > CIC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I/CD] 도커와 젠킨스를 통해 스프링부트 배포하기 with Github (0) | 2024.06.18 |
---|---|
[AWS] 볼륨 크기 수정하기 (0) | 2024.06.18 |
[CI/CD] 도커에 젠킨스 설치하기 with 스왑메모리 설정 (0) | 2024.06.18 |
[CI/CD] 도커에 MySQL 이미지 올리기 & MySQL 워크벤치와 연동하기 (0) | 2024.06.18 |
[CI/CD] 우분투 서버에 Docker 설치하기 (0) | 2024.06.17 |